728x90 반응형 LIST 실험노트99 PVDF 1. Polyvinylidene fluoride 2. 내화학성, 높은 기계적 강도, 압전특성 3. CH2=CF2 (monomer) 교차 중합되며 극성을 가지고 있음. 4. 자유라디칼 중합을 통해 제조 5. PVDF sheet, film 등으로 가공됨 6. 알파(교차배열), 베타(같은 방향으로 F2 정렬)상을 가짐. 7. PVDF Melting point 178 oC Heat deflection temperature 0.5 MPa 148 oC 1.8 MPa 113 oC 8. 베타상의 PDVF로 구성된 필름을 고전압을 가해 분극처리하면 영구적으로 편광됨 압전 성능을 보인다. 2023. 2. 15. Multipurpose screen printed carbon electrode Provider 1. https://www.nanoshel.com/product/screen-printed-carbon-electrode?gclid=Cj0KCQiA5NSdBhDfARIsALzs2EAAx137o7wdDGL7Ku77De6FCYmRizRj2x7VGx2VaoDorcICE6bMBGUaAuOhEALw_wcB Nanoshel a Nanotechnology Company - Nanoshel Nanoshel specialise in the field of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N&N), more specifically focused on the fabrication of a wide range of engineered nanomaterials, nanocompounds.. 2023. 2. 11. Glass bead making XRF 측정을 위해서 기관을 조율하던 중 glass bead 를 제작하여 측정하면 시료를 조금만 사용해도 된다는 정보를 입수하였다. 그래서 관련 정보를 알아보려고 하였는데, 찐으로 유리구슬을 만드는 영상만 나오더라. https://youtu.be/d2AWzoJJCEs 유리를 달궈서 성형기에 넣고 구 모양에 조각이 달려있는 애가 얻어지면 그걸 회수하고, 각종 모양을 잡아주는 기계를 거치면서 점점 동그란 비드가 만들어지게 된다. 워싱은 볼 드럼통에 넣고 돌리면서 진행되고, 양이 충격적이게 많다. 이후 CMP를 다 거치면서 비드가 만들어진다. 체를 통해 선별된 애들만 구형으로서 수집하여 사용한다. https://blog.naver.com/mocienews/221751180953 마법의 구슬 ‘세라믹비드’, 낱.. 2023. 2. 2. Magnetic property - 상자성 - 강자성 - 약자성 - 초상자성 외력이 주어질 때만 자성을 유지하고, 외부 자기장이 사라지면 자석의 성질을 잃는다. 외력이 주어지면 자성을 강하게 띄고, 외부 자기장이 사라져도 일정 시간 자성의 성질을 유지한다. 크기에 따른 입자의 자성 거동 분류 방법 2023. 1. 20. 리튬이온 이차전지 기술 리뷰 https://youtu.be/ym6RZZqQgew 양/음극재 활물질 분석 방법에 대한 유튜브 영상 2023. 1. 14. 배터리 탈철 공정 배우기 I. 대보마그네틱 배터리에 들어가는 철을 제거해야한다는 이야기와 한국 기업이 꽤 많은 부분을 점유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문득 궁금해져서 찾아보았다. 왜 배터리 소재에 들어가는 철을 제거해주어야 하는 것일까? 그 이유로 대보마그네틱의 자료를 살펴보자. 자료는 SK Company Analysis Analyst 서충우 님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리튬 2차 전지의 발화원인이 양극재 소재에 함유된 미량의 철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탈철 공정에 신경을 쓰고있다고 한다. 미량의 철도 영향을 준다고 한다. (dendrite를 형성하고 쇼트를 일으키는 것인가?) 탈철 공정에 굉장한 관심을 쏟고 있는 것 같다. 배터리 전극 재료는 분쇄 과정을 거치며 입자를 작게, 그리고 물질들을 균일하게 섞어주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미세 분말에서도.. 2022. 11. 15.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7 다음 320x10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