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LIST

실험노트94

EMI sheilding Skin Depth (aka Skin Effect) as a Function of Frequency, Permeability, & Conductivity https://rfcafe.com/references/electrical/skin-depth.htmSkin Depth Calculator https://rfcafe.com/references/calculators/skin-depth-calculator.htmConductor Bulk Resistivity & Skin Depths https://rfcafe.com/references/electrical/cond-high-freq.htm 2025. 2. 25.
논문 작성할 때 약어 정의를 어느 구역마다 해야해? Q 논문 작성할 때 약어 정의를 어느 구역마다 해야해? A논문에서 약어(Abbreviations)를 정의하는 위치와 방법은 일반적으로 학술 저널의 가이드라인이나 스타일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보편적으로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1. 논문 첫 언급 시 약어 정의약어를 처음 사용하게 되는 본문 또는 초록에서 반드시 풀어서 설명하고 약어를 괄호 안에 기재합니다.예: Anion Exchange Membrane Electrolyzer Water (AEMEW)이후부터는 약어만 사용하면 됩니다.2. 초록(Abstract)초록에서도 약어를 처음 사용하면 정의해야 합니다.그러나 초록에 약어를 남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약어를 사용하더라도 최대한 필수적인 용어만 사용하세요.3. 본문(Introdu.. 2025. 2. 15.
논문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읽고 써야 할까? 논문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읽고 써야 할까?논문은 학술적 연구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발표하는 문서를 의미합니다. 주로 과학, 인문사회, 공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다른 전문가나 독자에게 전달하고, 해당 학문 분야의 지식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논문의 개념, 읽는 방법, 그리고 쓰는 방법을 소개합니다.1. 논문이란 무엇인가?학술 연구 결과 공유논문은 특정 학문 분야에서 새롭게 발견된 사실, 실험 결과, 이론적 고찰 등을 구조적으로 정리해 발표하는 학술 문서입니다.다른 연구자가 이를 참고하여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재현 가능하도록 작성해야 합니다.학술 커뮤니케이션 수단연구 결과가 인정받으려면, 공신력 있는 학술지(저널)나 학회에서 논문을 발표해야.. 2025. 2. 14.
Endnote 필드 제거 레퍼런스 작업이 끝난 이후에는 Ctrl + A (전체 선택) 후 Ctrl +6 을 눌러서 필드 제거 2024. 12. 30.
CARBON journal checklist, ENDNOTE CARBON 저널의 캡션 작성 및 배치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1. 캡션의 페이지 배치**모든 캡션(Figure 및 Table)**은 해당 항목이 포함된 동일한 페이지에 있어야 합니다.잘못된 예: 캡션이 다음 페이지에 배치되거나 텍스트와 분리됨.올바른 예: Figure 또는 Table 바로 아래에 캡션이 배치됨.2. Figure 및 Table 배치Figure와 Table은 본문에서 처음 언급된 이후에 배치되어야 합니다.예: "As shown in Fig. 1, ..."라고 본문에서 언급한 경우, Fig. 1은 해당 문구 이후에 등장해야 함.3. 캡션의 내용캡션은 간결하면서도 Figure나 Table의 핵심 내용을 요약해야 합니다.Table: 표 제목은 표 위에 배치.Figure: 그림 제목은 그림 아래에.. 2024. 12. 29.
CRediT (Contributor Roles Taxonomy): 연구 기여 분류의 도입과 발전 CRediT (Contributor Roles Taxonomy): 연구 기여 분류의 도입과 발전**CRediT (Contributor Roles Taxonomy)**는 연구 논문의 저자들이 자신들의 기여도를 더 구체적으로 기술할 수 있도록 돕는 체계로, 2014년에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현재 120개 이상의 학술지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그 사용이 확장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https://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002/leap.1210 CRediT의 등장 배경1990년대 후반부터 학계에서는 저자 기여도를 더 명확히 기술해야 한다는 요구가 꾸준히 제기되었습니다. 기존의 저자 표기 방식은 연구에 기여한 역할의 다양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 2024. 12. 12.
320x10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