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LIST

상식+/공부자료45

기저막 당단백질 종류, sulfur 생명과학대사전 헤파란황산프로테오글리칸 [ heparin sulfate proteoglycan , ~黃酸~ ] GlcAβ1→ 3Galβ1→3Galβ1→ 4Xyl를 가교구조로 하여 헤파란황산이 핵심단백질 내의 세린에 O-글리코시드결합을 하고 있는 복합당질의 총칭. 세포 표면, 기저막 성분으로 세포외 기질에 보편적으로 존재한다. 섬유모세포 증식인자와 결합하고 기질에 저장되며 그 활성을 제어한다. 대형 헤파란황산 프로테오글리칸, 파루칸은 기저막구조의 형성에 관여하며 신장, 시냅스기저막, 근육섬유막에서 작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헤파란황산프로테오글리칸 [heparin sulfate proteoglycan, ~黃酸~]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생명과학대사전 헤파란황산 [ .. 2021. 8. 23.
BASEMENT MEMBRNAE, 기저막 기저막 기저판은 세포외기질 단백질이 얇고 평평하게 조립된 막 구조 엔탁틴(entactin) 등], 헤파란황산프로테오글리칸 , 헤파란황산 등의 물질이 반복적으로 등장. 음전하를 띄고 있음. (음전하를 띈 혈액세포, 혈장 고분자물질에 대해 격막능(膈膜能)을 나타내고...) 50 nm 정도의 pore size를 지님(review) - 분자체 효과에 의해 40 nm 이상의 물질은 투과하지 못함. (nature comm) 기저판 [Basal Lamina] 더보기 분자·세포생물학백과 기저판 [ Basal Lamina ] 기저판은 세포외기질 단백질이 얇고 평평하게 조립된 막 구조로서 중추 신경계 바깥에 분포하는 신경세포, 상피 세포, 근육 세포 등에 분포한다. 단백질 중합체로 만들어진 망사 구조의 기저판은 상피의 바.. 2021. 8. 23.
흉터 없는 상처 회복 가능할까 흉터 없는 상처 회복 가능할까 출처: 제3674호 2021년 08월 23일 어린아이를 둔 부모는 항상 노심초사다. 놀다보면 다쳐서 상처가 생길 수도 있는데, 혹시라도 흉이 질까 걱정된다. 특히나 얼굴에라도 상처가 나면 가슴이 조마조마하다. 비단 어린이뿐일까. 고된 작업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를 보면 몸 여기저기에 아물고 남은 흉터가 있는 경우가 흔하다. 상처는 대개 흉없이 아물지만 진피까지 다친 깊은 상처는 어김없이 흉터가 된다. 훙터는 피부 조직이 손상을 입어 조직이 변화된 상태이다. 따라서 처음 상태로 다시 돌아가지 못한다. 이미 자리 잡은 흉터는 수술이나 약으로 없앨 수 없다. 조금 완화할 수는 없겠지만 완벽히 없애지는 못한다. 그런데 최근 상처 회복과 관련된 섬유아세포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흉터를 치료.. 2021. 8. 23.
[과기원은 지금] KAIST, 나노입자 표면 리간드 분자 3차원 분포 최초 규명 外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8589&utm_source=dable] [과기원은 지금] KAIST, 나노입자 표면 리간드 분자 3차원 분포 최초 규명 外 최벽파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상헌 이화여대 화학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원자 단층 촬영 기술을 활용해 나노입자 표면에 존재하는 리간드 분자의 3차원 분 www.dongascience.com 최벽파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상헌 이화여대 화학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원자 단층 촬영 기술을 활용해 나노입자 표면에 존재하는 리간드 분자의 3차원 분포를 최초로 규명했다. KAIST 제공 ■ 최벽파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상헌 이화.. 2021. 8. 19.
Brain organoid, 브레인 오가노이드, 뇌 조직 모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1-24775-5 Microfluidic device with brain extracellular matrix promotes structural and functional maturation of human brain organoids - Nat Brain organoids derived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can model human brain development and disease, though current culture systems fail to ensure reliable production of high-quality organoids. Here the authors com.. 2021. 8. 19.
Demineralized bone matrix(DBM) 생체의 골격을 지탱하는 뼈를 재생하기 위한 재료로 DBM이 언급되고 있다. 이 재료는 1965년 Marshall Urist에 의해 개발되었고, 간단히 요약하여 말하자면, 뼈는 콜라겐과 미네랄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미네랄을 모두 제거하여 콜라겐 매트릭스만 남은 상태가 DBM이 된다. 다만, 미네랄의 제거에 의해 내부 구조를 지탱해주는 강성이 줄어들어, pore collapse 등이 일어날 수 있다. surface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모사해서 사용하기 좋은 재료이며, 실제 재생이 필요한 뼈 손실 부위에 사용되기도 한다. 위키피디아 소개자료 Demineralized bone matrix Demineralized bone matrix (DBM) is allograft bone that has ha.. 2021. 8. 18.
320x10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