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LIST 분류 전체보기975 코로나 증상 후기 2022. 11. 21. 코로나 PCR 검사 결과 확진이 되었다. 2022. 11. 18. 잔기침이 있었고, 열이 오른다고 생각했으나 늦은 시간까지 야근을 하다 퇴근하였다. 집에 도착할 즈음에는 몸의 피로감이 점점 심해져, 약을 사서 들어가야겠다는 생각을 뒤로하고 일단 집으로 들어가 샤워하고 잠이 들었다. 2022. 11. 19. 24 시간 중 전화나 카톡 때문에 일어난 조금의 시간을 제외하고는 전부 잠을 자고 있었다. 2022. 11. 20. 코로나 자가진단 키트를 통해 검진을 받았을 때, 음성이 나왔다. 간단하게 쇼핑을 다녀왔는데, 그 때 몸상태는 여전히 좋은 편은 아니었다고 기억된다. 2022. 11. 21. 아침 일찍 출근을 준비하겠다고 6시 근처에 일어났다. 일어나서 씻고 간단한 요깃거리들을 챙.. 2022. 11. 24. 코로나 재유행? 재유행 감소세 '주춤'...코로나19 겨울 재유행할까 2022.10.17 10:05 새 변이 등장·낮은 백신 접종률·독감 동시유행 등 위험 요소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감소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오미크론 BA.5 변이가 주도해 7월 초부터 시작된 6차 유행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7차 유행이 예상보다 빠르게 찾아올 수 있다"며 겨울철 방역정책에 지금부터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코로나19 일평균 확진자 수는 10월 첫째주 2만2462명이다. 주간 확진자 수는 15만7233명으로 전주 대비 22.1% 감소했다. 10일에는 신규 확진자 수가 98일만에 1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가 격주로 발행하는 코로나19 .. 2022. 11. 23. 김 주환 연세대학교 교수님 강연 유튜브 링크 잠들기 전 수행이 중요하다. 두개골을 직립으로 받쳐주고 있는 것은 경추 1번 뿐이라니!? 해부학 자료를 보며 놀라움을 금치 못하였다. 경추, 그리고 7개의 근육층이었나... 이따 다시 봐야지 mPFC - Amygdala - 2022. 11. 23. 전자파 차폐 원리 2022.11.23 - [상식+] - 전자부품, 전자회로에 필요한 배경지식 전자부품, 전자회로에 필요한 배경지식 https://www.youtube.com/watch?v=YxAkE3QMfyE EMC 전자파 적합성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파 장해(간섭) EMS(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전자파 내성 - 외부 noise에 견디는 능력 전자제품 --> 전자기파 (noise) 전 yuns2.tistory.com 전자파 차폐는 왜 필요한가? - 전자파가 발생하니까. - 전자파가 고유의 기능을 교란시킬 수 있으니까. - 전자파가 센서의 기능을 교란할 수 있으니까. 등등 EMI shielding 자파 차폐 기술은 주로 금속을 사용하거나 전도성 도.. 2022. 11. 23. 전자부품, 전자회로에 필요한 배경지식 https://www.youtube.com/watch?v=YxAkE3QMfyE EMC 전자파 적합성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파 장해(간섭) EMS(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전자파 내성 - 외부 noise에 견디는 능력 전자제품 --> 전자기파 (noise) 전도(CE): Conducted emission --> 케이블이나 배선을 통해 전달되는 noise 방사(RE): Radiated emission --> 공기중을 통해서 방사되는 noise 전도(CS or CI): Conducted susceptibility or conducted immunity 방사(RS or RI): Radiated susceptibility or Radiat.. 2022. 11. 23. 배터리 탈철 공정 배우기 I. 대보마그네틱 배터리에 들어가는 철을 제거해야한다는 이야기와 한국 기업이 꽤 많은 부분을 점유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문득 궁금해져서 찾아보았다. 왜 배터리 소재에 들어가는 철을 제거해주어야 하는 것일까? 그 이유로 대보마그네틱의 자료를 살펴보자. 자료는 SK Company Analysis Analyst 서충우 님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리튬 2차 전지의 발화원인이 양극재 소재에 함유된 미량의 철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탈철 공정에 신경을 쓰고있다고 한다. 미량의 철도 영향을 준다고 한다. (dendrite를 형성하고 쇼트를 일으키는 것인가?) 탈철 공정에 굉장한 관심을 쏟고 있는 것 같다. 배터리 전극 재료는 분쇄 과정을 거치며 입자를 작게, 그리고 물질들을 균일하게 섞어주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미세 분말에서도.. 2022. 11. 15. 이전 1 ··· 71 72 73 74 75 76 77 ··· 163 다음 320x10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