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BIG
Q 논문 작성할 때 약어 정의를 어느 구역마다 해야해?
A
논문에서 약어(Abbreviations)를 정의하는 위치와 방법은 일반적으로 학술 저널의 가이드라인이나 스타일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보편적으로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1. 논문 첫 언급 시 약어 정의
- 약어를 처음 사용하게 되는 본문 또는 초록에서 반드시 풀어서 설명하고 약어를 괄호 안에 기재합니다.
- 예: Anion Exchange Membrane Electrolyzer Water (AEMEW)
- 이후부터는 약어만 사용하면 됩니다.
2. 초록(Abstract)
- 초록에서도 약어를 처음 사용하면 정의해야 합니다.
- 그러나 초록에 약어를 남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약어를 사용하더라도 최대한 필수적인 용어만 사용하세요.
3. 본문(Introduction & Methods)
- **서론(Introduction)**에서 주요 개념이나 시스템에 대해 처음 언급할 때 약어를 정의합니다.
예: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PEMFCs) are widely used... - **실험 방법(Methods)**에서는 특정 장비나 실험 기법 등에서 새로운 약어가 등장할 수 있습니다. 이때도 처음 언급 시 정의해야 합니다.
4. 표와 그림의 범례/캡션(Figure/Table Captions)
- 표와 그림의 캡션에서도 약어가 등장하면 첫 번째 언급 시 정의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본문에서 이미 정의한 약어를 표/그림에서 반복적으로 설명할 필요는 없습니다.
5. 약어 목록(Abbreviation List)
- 일부 저널은 약어 목록(List of Abbreviations)을 별도로 요구하기도 합니다.
- 일반적으로 초록과 서론에서 정의된 약어만 정리해 표기하면 됩니다.
6. 결론 및 토의(Conclusion & Discussion)
- 결론이나 토의 부분은 약어를 새로 정의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이때는 이미 본문에서 정의된 약어만 사용하면 됩니다.
요약
- 약어 정의의 원칙: 처음 등장하는 위치에서 풀어서 설명하고 약어를 괄호에 기재합니다.
- 초록 → 서론 → 본문 → 표/그림 캡션에서 이 원칙을 일관되게 적용하세요.
- 필요시 약어 목록을 추가해 논문을 읽는 독자가 쉽게 참조할 수 있도록 합니다.
TIP: 동일한 약어를 여러 번 정의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약어 사용이 과도하지 않게 조정하면 논문이 더 명확해집니다.
728x90
반응형
LIST
'실험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당한 저자 표시 - 연구윤리 (0) | 2025.03.30 |
---|---|
EMI sheilding (0) | 2025.02.25 |
논문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읽고 써야 할까? (1) | 2025.02.14 |
Endnote 필드 제거 (0) | 2024.12.30 |
CARBON journal checklist, ENDNOTE (1)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