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지 공정 이해를 위한 학술적 목차 (연구자용)
1. 서론
1.1. 종이의 역사와 현대적 의미
1.2. 제지 공정 학습의 중요성
1.3. 제지 기술의 응용 분야 (포장, 인쇄, 에너지 소재 등)
2. 펄프(Pulp)의 과학
2.1. 원료 종류: 목재, 대나무, 재활용지 등
2.2. 펄핑(pulping) 방식: 기계적, 화학적, 반화학적
2.3. 섬유 구조와 물성 변화
2.4. 펄프 품질 평가 지표 (섬유 길이, 광택, 순도 등)
3. 제지 공정의 전반적 흐름
3.1. 펄프 정제 및 혼합
3.2. 습지 형성 (Forming)
3.3. 프레스 (Pressing)
3.4. 건조 (Drying)
3.5. 마감 및 코팅
3.6. 슬리팅 및 포장
4. 각 공정의 핵심 제어 요소
4.1. 수분 함량 조절
4.2. 온도, 압력, 속도 변수
4.3. 장력(Tension) 제어의 역할
4.4. 품질 제어를 위한 센서 및 자동화
5. 종이의 특성 분석
5.1. 기계적 물성 (인장 강도, 내구성 등)
5.2. 표면 특성 (매끄러움, 흡수성 등)
5.3. 광학 특성 (백색도, 투명도 등)
5.4. 전기적/열적 특성 (특수용지 한정)
6. 현대 제지 기술과 소재 응용
6.1. 고기능성 종이 (방수, 항균, 전도성 등)
6.2. 제지 기술의 나노소재 응용 (e.g., CNT 필름)
6.3. 친환경 종이 및 재활용 기술
6.4. 스마트 제지 시스템: AI, IoT 기반 공정 제어
7. 텐션 컨트롤러의 과학과 적용
7.1. 텐션이 종이에 미치는 영향
7.2. 텐션 측정 기술 (로드셀, 댄서롤 등)
7.3. 폐루프 제어 시스템
7.4. 텐션 제어 장비의 실제 적용 사례
8. 종이 산업의 미래 방향
8.1. 탄소중립과 지속 가능성
8.2. 디지털화와 고부가가치화
8.3. 제지 기술의 다학제 융합 가능성
9. 결론 및 연구 제안
9.1. 연구자 관점에서의 핵심 통찰
9.2. 산업적/학술적 융합 연구 방향 제시
9.3. 국내외 연구 동향 요약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제지 공정 학습 Chapter 1 – 종이란 무엇인가? (0) | 2025.04.08 |
---|---|
📚 제지 공정 이해 들어가기 (1) | 2025.04.08 |
제지 공정 (Paper making process) (1) | 2025.04.08 |
과학향기 for Kids동영상 (0) | 2025.02.27 |
웹에서 첨자 표시하기 (0) | 2024.10.01 |